본문 바로가기
IT 와 Social 이야기

[KEIT] 디자인 R&D 혁신 방법으로서 인문디자인의 의미와 사례 - 진재한 PD, 김경묵 원장, 안진호 대표

by manga0713 2018. 1. 15.

 

 

 

 

*** 출처: [KEIT] 디자인 R&D 혁신 방법으로서 인문디자인의 의미와 사례 - 진재한 PD, 김경묵 원장, 안진호 대표

 

*** 문서:

KEIT PD(17-12)-이슈2.pdf

 

 

 

 

 

■ 인문디자인(liberalarts design)의 개념과 의미

 

 

○ 디자인은 본래부터 인문을 포함하는 개념

 

 

- 창의성은 ‘새로움을 내어 놓는다.’라는 목적을 지향하는 추상적인(개념적인) 단어임. 목적은 그 자체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없으며, 구체적인 수단을 필요로 함. 이러한 창의성을 구현하기 위해 인류가 오랜 시간 발전시켜 온 수단이 바로 디자인이며, 여기에는 De(Designare=인문, Decode=의미해석)를 더하고(+), 빼고(-), 곱하고(x), 나누는(÷) 과정을 통해서 Sign(상징, 의미, 모양)의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포함됨

 

- 디자인에는 디를 하는 사람과 사인을 하는 두 가지 사람이 존재함. 먼저 ‘사인’을 하는 사람은 모양을 예쁘게 만드는 사람들로서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한 사람들임. ‘디’를 하는 사람은 그 모양의 의미를 알기 쉽게 풀어주고 또 의미를 부여하는 사람들이며, ‘디’를 하는 사람을 진정한 디자이너라고 함

 

- ‘인문디자인’이라는 단어는 한국 사회가 ‘디자인’이라 읽고, ‘사인’이라 인식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고려하여 만든 단어로서, 디자인은 본래부터 de=인문과 사인=상징, 의미의 합성어였음

 

 

 

○ 디자이너의 사고 방법 ‘디자인적 사고방식(design thinking)’

 

 

- 디자인적 사고방식(design thinking) 과정은 문제에 대해서 공감하고, 정의하고, 아이디어를 모으고,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테스트 하는 다섯 개의 과정으로 구분함.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프로세스화함

 

 

 

○ 인문디자인(liberalarts design)은 의미와 교감하는 활동의 연속임

 

 

- 인문이 사람들의 근본적 욕구와 불편을 묻고 기술이 이에 답할 때 디자인은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의미를 풀고 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

 

 

○ 왜 인문디자인을 해야 하는가

 

 

- 4차 산업혁명 사회의 경쟁력은 이와 같은 인문적 성찰과정을 거친 디자인과 같은 소프트한 혁신 역량이며,
‘인문디자인’을 통해 확보할 수 있음

 

- ‘무엇’ 중심의 기술적 사유를 ‘왜’ 중심의 인문적 사유로 전환 시킬 때, 새로움이 탄생함

 

 

○ 어떻게 인문디자인을 할 것인가

 

 

- 인문디자인은 디자인적 사고방식(design thinking)에 인문(철학)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문이 사람의 사고의 근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인문디자인은 생각을 개념화 하고(공감하고, 정의하는) 그 개념을 상품화 하는(아이디어를 모으고,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테스트 하는) 두 개의 과정이라는 근본적인 문제 설정 과정을 포함하고 있음

 

- 인문디자인의 시작은 사람을 온전히 사람으로 이해하는 것임. ‘소비자’와 같은 수단으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서야 함. 기술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글로 말 또는 글로 설득한 다음에 시각화하는 과정임

 

- 인문디자인은 생각을 개념화하는 ‘생각의 개념화’ 과정과 개념을 상품화하는 ‘개념의 상품화’ 과정으로 수행됨. 여기에 경영전략을 추가하면 ‘상품의 문화화’ 과정이 더해 짐

 

 

○ 인문디자인(liberalarts design)과 디자인적 사고방식(design thinking) 비교

 

 

 

 

 

소프트한 ‘혁신역량’을 회복 할 수 있게 함

 

 

 

 

■ 인문디자인에 기반한 경영혁신 및 사례

 

 

○ 인문디자인과 이에 기반한 경영 프로세스

 

 

- 인문디자인은 생각을 개념화 하고, 그 개념을 상품화 하는 과정으로 이에 기반한 경영은 그 상품을 문화화 하는 과정임. 그 결과로 ‘익숙한’ 기술과 트렌드 중심의 생각에서 벗어나, ‘낯선’ 사람과 도구의 근원을 먼저 생각하는, 디자인과 같은 소프트한 ‘혁신역량’을 회복 할 수 있게 함

 

- 생각의 개념화와 세 가지 사고 방법 비고

 

 

 

 

 

 

○ 인문디자인과 경영을 일반화 한 사례

 

 

- ‘기술이 눈에 띄지 않고 스며들어 있어야 한다’라는 UC(유비쿼터스 컴퓨터)의 인문 개념을 상품화한 애플

 

- 보통 ‘MUJI’라고 불리는 무인양품은 “특징(印) 없는(無) 좋은(良) 제품(品)”이라는 뜻임. 아무런 특징을 표방하지 않는 것이 이 기업의 특징인데 이러한 사고의 바탕에는 동양의 ‘無’, 즉 비움의 철학을 개념화 하고 이를 디자인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