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의 목적에 따른 분류 입니다.
Cyber Crime은 전문적인 범죄(경제적인 목적을 위한)의 모습이고요. 통계의 배후에는 Cyber Crime 마켓이라는 Black Market의 성황을 예의주시해야 할 것 입니다.
Hacktivism은 해커 Hacker와 정치,사회적 행동 Activism의 합성어이며 이들을 Hacker와 달리 Hacktivist라고 부르지요. 해커와 같은 기술,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만 서비스를 중단시켜 정치적, 사회적 이슈로 부각을 목표나 목적으로 하는 것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Cvber Espionage는 Cyber Spying과 같은 의미로써 공격 목표에 대한 정보 및 취약점을 찾아내는 방법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습니다.
공격 방식의 최상위 그룹은 여전히 SQL 인젝션, DDoS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취약점 점검과 분석 및 대응을 하시는 분들의 이야기를 전하면 이 부분은 여전히 "개발자들의 각성"이 필요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공격의 타겟군은 금융, 정부 등이 여전히 상위이지만 전 산업에 걸쳐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결국, "우리 회사는 우리가 속한 산업은"이라는 순진한 생각은 떨쳐내야 하는 것입니다.
- 더 자세한 내용 확인 하기 : Hackmageddon
'IT 와 Social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ckmageddon] 2013년 2월 1일~15일 까지의 Cyber Attack 현상 분석 (2) | 2013.02.26 |
---|---|
[Hackmageddon] 2013년 2월 1일~16일까지의 Cyber Attack Timeline (0) | 2013.02.26 |
[Hackmageddon] 2013년 1월 16일~31일까지의 Cyber Attack Timeline (0) | 2013.02.12 |
[Kaspersky Lab report] 소프트웨어 취약점의 위험도 평가 Evaluating the threat level of software vulnerabilities (0) | 2013.02.04 |
하둡 에코시스템 Hadoop Ecosystem (0) | 201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