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와 Social 이야기

[IITP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인공지능 헬스케어 국내외 동향 및 활성화 방향 - 김문구, 박종현, 오지선

by manga0713 2018. 1. 24.

[인공지능 헬스케어 개념]

 

 

 

*** 출처: [IITP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인공지능 헬스케어 국내외 동향 및 활성화 방향 - 김문구, 박종현, 오지선

*** 문서:

file784892305982657130-183001.pdf

 

 

 

 

 

■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부상 배경

 

 

'질병치료' 중심에서 '사전 진단' 및 '예방의학', '정밀의료'로 보건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과학기술 혁신을 동반한 사회, 산업, 기술의 변화 속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은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일 것이다.

 

 

 

■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목표

 

 

인공지능 헬스케어는 방대한 의료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요하여 스스로 학습·분석하고 헬스케어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질병 예측 및 개인 맞춤형 치료 등 혁신적인 고부가가치형 의료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제약 요인

 

 

- 구조화 되지 않은 데이터

 

- 의사 인력 대체

 

- 인공지능의 오류

 

- 인간과 인공지능의 낮은 협업 수준

 

- 인공지능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규제 시스템

 

 

 

II. 국내외 인공지능 헬스케어 동향과 전망

 

1. 국내외 정책 동향

 

-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은 빅데이터, ICT, 인공지능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서 로봇 케어, 환자 맞춤형 의료 등 이용자에게 혁신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산업발전과 연구개발 투자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주요국의 인공지능 헬스케어 정책 비교

 

 

 

 

 

 

 

 

- 시장 조사기관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40% 이상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예측

 

- Frost & Sullivan, 글로벌 시장 2015년 8.1억 달러에서 연평균 42%의 빠른 성장, 2021년 66.6억 달러 전망

 

- Markets and Market, 2015년 0.7억 달러에서 연평균 60.3%의 높은 성장, 2020년 7.6억 달러 전망

 

- 한국정보기술연구원(KISTI), 국내 시장 2015년 18억 원에서 연평균 70.4% 고성장, 2020년 256억 원 전망

 

 

 

III.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유망 분야 분석

 

 

- 국내 기관별 인공지능 헬스케어 유망 서비스 도출과 편익, 기회, 위협 요인의 분석

 

 

 

 

 

 

IV. 결론: 국내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사회적 영향과 활성화 방향

 

 

■ 인공지능 헬스케어 활성화 효과

 

○ 환자 및 일반인

 

-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의료건강관리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의료비 부담이 경감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될 것

 

 

○ 의료기관

 

- 인공지능 기반의 정밀 치료 제공으로 합리적인 비용과 동시에 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현저히 향상 시킬 수 있다.

 

 

○ 제약산업

 

- 개인의 유전체 정보와 인공지능 기술 분석을 통해 개인 특성 기반의 맞춤형, 표적 약품 개발 등 새로운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이 가능해질 것

 

 

○ 건강보험 산업

 

- 가입자의 정확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적정한 보험료를 산정하고 보험금 누수방지, 보험사기 방지 등 보험산업의 업무 효율화 향상 및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

 

 

 

■ 활성화 방안

 

 

1. 양질의 방대한 데이터 확보는 인공지능 헬스케어 성장의 근간. 구축된 의료 데이터에 대해 개인정보를 엄격히 보호하면서 동시에 기관이나 기업, 스타트업 등에서 데이터를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의료정보 활용 가이드라인 정립이 요구된다.

 

2. 수요자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다양한 서비스 모델로 연결하는 비즈니스 전략이 요구된다.

 

3. 다양한 참여자 간 능동적인 협력이 중요하다.

 

4. 정부의 기초 원천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함께 스타트업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