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의 활용]
*** 출처: [KB지식비타민] 상업용 드론시장의 성장과 보험의 역할
*** 문서:
KB지식비타민(18-39) 상업용 드론시장의 성장과 보험의 역할.pdf
■ 상업용 드론의 시장 현황
- 세계 드론시장 규모, 2015년 40억 달러에서 2024년 147억 달러로 급증 예상
- 상업용 드론의 경우 중국의 DJI가 2016년 기준으로 세계 시장의 70%를 차지
- DJI는 드론의 핵심기술인 플라이트 컨트롤러(flight controller)와 드론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카메라를 일정한 기울기로 유지하는 짐벌(gimbal)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 보유
■ 다양해지는 드론의 활용
○ 농업
-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분야, 2016년 판매된 드론 중 46%가 농업용 드론으로 추정
- 토양 및 농경지 조사, 파종, 살포, 작물 모니터링 등 다양하게 활용
- 거리측정기를 이용하여 드론이 지표면을 스캔한 후 필요한 지역에만 농약을 정확하게 투하하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함께 토양오염도 방지
- 우리나라도 약 1천대가 판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정부보조 확대로 보급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
○ 방송
- 지리적 한계 또는 안전상의 이유로 접근이 어려웠던 지역을 드론을 이용해 촬영
○ 환경
- 기상변화 및 환경오염 등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에 활용
- 'WasteShark'는 최대 550kg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로를 학습해 더 효율적인 쓰레기 수거경로도 찾음, 동시에 14가지의 수질(pH, 용존산소, 혼탁도 등)과 수심,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전송
○ 물류 / 운송
- 2013년 12월 아마존은 반경 16km 안에 있는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여 30분 안에 제품을 배달하는 '프라임에서' 서비스 공개
- DHL도 '파셀콥터(pacelcopter)'라는 드론을 개발, 2013년말 의약품이 담긴 소포상자를 라인강 건너편으로 배달했고, 2014년에 12km 떨어진 섬까지 배달하는 데 성공
- 중국 무인항공기 제조사 이항(ehang)은 드론택시 'ehang-184'를 이용 광저우의 공무원 40명을 대상으로 실제로 승객을 태운 비행 테스트를 올해 초 성공
■ 보험의 역할
○ 드론 관련 사고 유형
- (미국연방항공청) 드론과의 충돌에 의한 부상, 프로펠러에 의한 열상, 프로펠러에 의한 관통상 등 제시
- 국내에서도 대인·대물사고 증가 (2017년 경북 봉화군 어린이날 행사에서 사탕을 뿌리던 드론의 추락으로 어린이 3명과 어른 1명 부상)
- 몰래카메라 범죄 발생
○ 해외 보험사들은 드론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고려해 다양한 담보의 보험을 개발
1. 미국 AIG 드론보험
- 드론 파손 및 드론으로 인한 대인·대물 배상책임을 보장
- 드론기기 및 랩탑, 드론케이스, 원격조종장치 등 드론 관련 장비의 손해 보장
- 렌트로 드론 이용시 발생한 사고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 보장
- 2015년부터 드론을 이용하여 고객의 리스크평가 및 재해현장 조사 등에 활용
2. 항공보험 전문 브로커사인 'Travers & Associates'
- 미국내 다수 보험사의 드론보험 취급
- 항공사진, 농업용, 원격감시, 응급구조, 소방, 교통모니터링, 보안, 뉴스취재, 부동산, 개인취미용 등 모든 산업에서 드론 이용시 발생 가능한 파손 및 배상책임 위험을 보장
3. 영국, 'Flocl'
- 드론 비행시간만큼(pay-as-you-fly) 부과하는 드론보험 판매
- 드론 모델 및 비행구역(반경 500m)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지며, 선택된 비행영역 내에서 지형공간데이터와 조종사의 위험정보를 분석
- 보험기간은 최대 8시간까지 시간단위로 가입 가능하고 최대 10일까지도 가능
- 보험료는 1일 3파운드부터 시작되며, 드론 조작을 안전하게 할수록 저렴
[Flock의 보험료 산출 및 위험성향 리포트 화면]
○ 국내 보험 상품
1. KB손보
- 드론유통기업 헬셀과 제휴, 영업배상책임보험의 특향형태로 개인에게 판매 중
2. 현대해상
- 단체 가입용 '하이드론보험' 판매 중
'IT 와 Social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CERT: Bulletin(SB18-197)] 2018년 7월 9일까지 발표된 보안 취약점 (0) | 2018.07.18 |
---|---|
[iitp] 딥러닝 기반 도심지 교통혼잡 해결 (0) | 2018.07.18 |
[이한] 알고리즘 시각화 라이브러리 ipytracer 개발기 (0) | 2018.07.10 |
[US-CERT: Bulletin(SB18-190)] 2018년 7월 2일까지 발표된 보안 취약점 (0) | 2018.07.10 |
[iitp] 드론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전망 (0) | 2018.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