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와 Social 이야기

[KISDI] 국내 디지털헬스케어의 발전방향

by manga0713 2021. 3. 16.

 

- 출처: [KISDI] 국내 디지털헬스케어의 발전방향 - 디지털경제연구실 이경은 부연구위원

 

국내 디지털헬스케어의 발전방향.pdf
1.77MB

 

 

1.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및 분류/범주

 

- 산업통상자원부(2019)는 정보통신기술(ICT)과 헬스케어가 융합된 산업으로, 빅데이터, AI등의 ICT를 활용하여 고도화된 환자 맞춤 의료 서비스와 환자·일반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

 

- 보건의료와 정보통신기술, 디지털기술 등이 융합된 것으로서 협의로는 특정 보건의료기술을 의미하기도 하며, 과학적 개념과 기술이 적용된 모든 보건의료기술, 원격의료가 포함되는 광의로 사용되기도 함

 

 

- 디지털 헬스케어를 구성하는 기술 관점에서 보면,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생체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 AI 기반 혁신의료 시스템으로 분류해볼 수 있음

 

 

2.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 동인 및 트렌드

 

- 기존 보건의료시스템에서는 병원, 제약·의료기기 업체, 보험회사, 환자 등이 주요 이해 관계자였다면, 변화된 패러다임에서는 건강관리 전문서비스사, 통신사, 바이오센서 포함 웨어러블 기기 제조업체, 헬스케어앱 솔루션 제공자 등 다양한 신규 이해관계자가 모여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하게 됨

 

 

- 디지털 헬스케어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비즈니스 모델이 한정적이나 나름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음

 

① 임직원에게 복지항목으로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고용주를 통해 서비스 제공 하는 모델 (Happiest baby, WellDoc 등)

 

② 솔루션 자체를 만들어 의료진에 제공하는 형태(진단검사 및 데이터의 해석 및 모니터링: iRhythm)

 

③ 치료영역으로 진출 (디지털 치료제)*

* 소프트웨어로서, 의료와 헬스케어에 스마트폰 웨어러블, AI, VR,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이 융합되어 환자를 치료하는 개념임

 

④ 제약회사와의 접목사례: 원격 임상시험, 환자모집, 복약 순응도 개선

 

 

4.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이슈

 

- 임상데이터를 포함한 통합적 빅데이터 플랫폼의 미 상용화, 생체 데이터 수집에 대한 규제 등이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의 장애요인

 

- 개발이 이루어진 신기술을 의료현장에 도입하기 위한 다방면의 지원책이 필요하나 아직은 개별 기업/병원에 맡겨진 부분이 큼

 

- AI 오작동으로 인한 의료사고의 책임소재, AI 진단결과와 의사 판단에 있어 환자의 선택에 다른 결과의 책임 문제 등 다양한 법적인 문제들도 존재

 

- 디지털 헬스케어의 유형가운데 하나인 ‘원격진료’를 둘러싼 이해관계자간 서로 다른 입장 차이, 원격진료 시행과 관련된 세부적인 문제점 산재로 도입이 쉽지 않음

 

-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국가방역체계 전주기에 걸쳐 AI·데이터가 다방면에서 활용되었고, 각국의 의료분야 연구개발에 있어 혁신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는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사회전체의 경험치를 축적하는 계기로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