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IITP] 소유의 귀환, NFT 기술과 서비스 동향 - 이중엽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 이강효 한국인터넷진흥원 선임
II. NFT(Non Fungible Token) 기술
1. NFM 시스템 모델
- NFT 시스템은 P2P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 NFT 시스템의 참여자는 창작자와 구매자로 구성된다. 창작자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재화를 NFT 시스템을 통해서 NFT로 발행(minting)할 수 있다.
- NFT 를 발행하거나 판매할 때마다 스마트컨트랙트를 실행하고 새로운 트랜잭션을 전송한다.
-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서 확인(confirm)된 후, 새로운 블록에 NFT의 메타데이터와 소유자 정보가 추가된다.
- 구매자가 NFT를 구입한 경우, 작품의 소유자, 구매가격, 소유권 변경, 인수 가격 등의 메타데이터 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 구매자는 NFT 미술품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으나 창작자의 실제 그림, 원본 파일은 받을 수 없다. 창작자는 NFT가 판매되어 소유자가 바뀔 때마다 보상을 받게 된다.
- NFT 주요 프로토콜
2. 토큰 표준
- 주요 ERC 토큰 현황
- 대체 가능 토큰 및 대체 불가 토큰 비교
- 대체 가능 토큰으로 발행된 토큰은 모두 같은 가치를 가지며, 소수점 단위에 따라 통화를 작은 단위로 쪼갤 수 있다. 토큰의 가치가 같기에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 대체 불가 토큰인 NFT는 고유한 정보를 다루어 서로 교환할 수 없으며, 작은 화폐단위로 통화를 나누어서 거래할 수 없다.
- 코인은 메인넷(mainnet)이라 부르는 독자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가지고 생태계를 구축 하는 가상자산을 말한다.
- 토큰은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목적에 맞게 개발된 가상자산을 말한다.
- 토큰은 디지털 환경에서 거래하고, 가치를 내재화해야 한다. 토큰도 현금과 같이 전체 공급량, 잔고확인, 송금 등 토큰 고유의 기능을 정의한다.
- FT 규약에 따라 개발된 토큰은 약 44만 개에 이른다.
- 조합 가능 NFT 토큰
- 조합 가능 NFT는 두 가지 방식으로 토큰을 조합할 수 있다. 조합 가능 NFT 기반의 캐릭터에 FT/NFT 기반의 디지털 아이템을 적용하는 하향식 (top-down)이 있고, 그 반대로 NFT에 조합 가능 NFT 기반의 아이템을 적용하는 상향식(bottom-up)이 존재한다.
- ‘다중 토큰 표준’은 최종 승인되었지만, 활용 가능한 서비스가 부족한 상태이고, 조합 가능 NFT는 설계(Draft) 단계로 개념만 제시된 상태이다.
- 블록체인 플랫폼별 토큰 표준 현황
III. NFT 프로젝트 및 활용 사례
1. 전 세계 NFT 시장 현황
- 전 세계 NFT 시장 추이
- 2021년 상반기 분야별 NFT 시장 현황 및 주요 플랫폼(프로젝트)
- Collectible(수집)이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Art, Sport, Metaverse 분야가 뒤를 잇고 있다.
- 거래량 면에서는 Sport 분야가 가장 활발하다고 볼 수 있다. 농구(NBA Top Shot), 축구(Sorare) 등의 선수 카드 수집ㆍ거래는 오프라인에서 오랜 기간 진행되던 방식을 그대로 온라인으로 구현 했다고 볼 수 있다.
- 기존 코인거래소들이 NFT 마켓으로 진출하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 NFT 관련 비즈니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기업들
2. 주요 NFT 프로젝트
- 현재 NFT 시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플랫폼은 이더리움(Ethereum)과 이에 기반 한 사이드체인들로 볼 수 있다.
- 블록체인 플랫폼별 NFT 볼륨(단위: 만 달러)
- NFT 서비스의 거버넌스/생태계 구성 사례
IV. 맺음말
- ‘접속의 시대’는 또 다른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 등교마저 ‘접속’으로 해결하고 있는 알파세대는 NFT와 블록체인이 기반이 될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혀 다른 소유와 경제 형태를 만들어 나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IT 와 Social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TP] Visual SLAM 기술개발 동향 (0) | 2021.11.15 |
---|---|
[IITP] 방송콘텐츠 및 메타데이터에 특화된 기계번역 (0) | 2021.11.15 |
[IITP] 심리상담용 RNN 기반 대화형 AI챗봇 개발 방안 (0) | 2021.11.11 |
[NIA]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플랫폼 변화 전망 (0) | 2021.11.09 |
[NIA] 인공지능 시대, 벤치마크 데이터셋의 중요성 (0)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