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KRX] 사이버 상 정보와 주식시장의 관련성 분석 - 강태훈 박사
*** 문서:
I. 서론
- 인터넷의 발전은 HTS, MTS와 인터넷 증권게시판, SNS 등의 활성화를 통해, 증권을 거래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투자정보나 의견을 전달하고 공유하는 방법을 크게 변화시켰다.
- 그러나 사이버 상 정보공유의 특성들이 가지는 순기능은 동시에 부정거래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고 시장감시를 보다 어렵게 하는 역기능을 동반한다.
- 사이버 상으로 공유된 정보의 부정거래 개연성을 파악하고 조치하기 위한 시장감시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 상 정보와 주식시장과의 상호 관련성과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 新 시장감시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작업 중의 하나는 기존 시스템에서 구현된 알고리듬, 패턴구조 분석방법 등의 유용성을 판단하고 원인을 규명하는 것인데, 유용성 여부는 수집된 사이버 상 정보와 시장정보와의 관련성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판단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과 개선방안은 기술공학적인 분석을 통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므로, 두 정보 간 관련성은 원인규명과 개선을 위한 사전적인 정보로서 요구된다.
- 상위 그림과 같이 사이버 상 정보는 팍스넷(paxnet)과 네이버(naver), 다음(daum)의 증권게시판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는데, 이 중 키워드점수는 게시물의 내용을 문장 분리와 형태소 분석을 통해 추출되며, 단일명사, 복합명사로 분류되는 형태소에 대한 중요도를 지수화한 것이다.
- 주식시장정보는 종가 및 거래량, 상장주식 수로 계산된 일별 수익률 및 회전율을 이용한다.
- 실증분석의 내용
① 두 정보 간 관련성 분석으로, 사이버 상 정보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여부와 초과수익률·비정상회전율 및 과소·과대반응 등의 특성을 분석한다.
② 종목별 특수성 분석으로, 두 정보 간의 관련성이 종목별로 상이한 패턴을 가지는가를 분석한다.
③ 종목분류 및 특성차이 분석으로, 그랜저 인과관계가 유의적인 종목그룹과 비유의적인 그룹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 간에 일관된 특성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④ 특성차이에 의해 선정된 개별종목 분석으로, 유의적인 종목그룹의 특성들을 충족하는 개별종목을 선정 후 시각적으로 특이사항을 관찰한다.
'IT 와 Social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CERT: Bulletin(SB18-036)] 2018년 1월 29일까지 발표된 보안 취약점 (0) | 2018.02.06 |
---|---|
[nipa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목해야 할 10 IT 유망기술 - 안지혜 책임 (0) | 2018.02.05 |
[온라인새벽기도] 새롭게 결단하라 (0) | 2018.02.01 |
[IITP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국내 인공지능(AI) 의료기기 현황 및 규제 이슈 - 정원준 연구원 (0) | 2018.01.31 |
[IITP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구글 리서치 그룹 인공지능 알고리즘 오작동 유발 스티커 - Adversarial Patch 발표 (0) | 201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