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와 Social 이야기

[iitp] 보행자와 자율주행차 간의 신뢰 구축을 위한 정보전달 방법 연구

by manga0713 2019. 3. 6.

 

 

 

 

 

 

 

 

 

 

 

 

■ 어떻게 하면 사람이 자율주행차를 신뢰하고 지금처럼 보행할 수 있게 할 것인지가의 과제 연구에 적극 나서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음

 

 

○ 재규어랜드로버(Jaguar Land Rover)

 

- 2019년 1월 말 자율운전차량이 전방의 도로에 조명을 사용하여 진행 방향이나 전진 혹은 정지의 의사를 표시하는 시험 차량(아이 파드(Eye Pod))을 공개하였음

 

- 아이 파드는 현재 보행자와 운전자가 눈을 마주치는 행위를 대신하기 위해 눈 모양의 오브제를 붙인 차량으로, 보행자 쪽으로 시선을 이동하도록 하여 자율운전차량이 보행자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음을 표시함으로써 신뢰감을 주는 방식이었음

 

- 아이 파드 다음으로 개발된 두 번째 실험차량은 자율운전차량의 다음 움직임을 보행자나 다른 운전자들에게 미리 보여줌으로써 신뢰감을 형성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음

 

 

 

 

 

- 표현의 수단은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전방 도로에 투영하는 몇 개의 가로선으로, 가로선의 간격과 방향은 조정이 가능한데, 가령 자율주행차가 우회전을 할 예정이면 진행 방향에 따라 가로선들이 오른쪽으로 휘어지도록 투영하게 됨

 

- 자율주행차가 주행하다 감속하는 경우는 가로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반대로 가속하려는 경우 간격이 넓어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보행자는 정지 중인 자율운전차가 곧 발진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정지한 채로 있을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됨

 

- 재규어의 연구는 영국 정부가 지원하는 프로젝트 ‘UK Autodrive’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는 자율운전차량의 움직임이 인간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으로 인지 심리학자 팀이 참여해 협력하고 있음

 

 

 

○ 다임러(Daimler)

 

- 메르세데스-벤츠는 자율운전자동차가 사회에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공감’과 ‘신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

 

- 실험 차량인 ‘코오퍼러티브 카(The cooperative car)’를 2019년 1월 말에 발표했으며, 다임러는 현재 이 차량을 이용하여 “정보에 기반을 둔 신뢰”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코오퍼러티브 카는 벤츠 S클래스를 베이스로 하며, 주변 360도에서 볼 수 있는 라이트 신호등을 차량 지붕에 설치하였음

 

- 신호등이 청록색으로 깜빡이는 것은 자율운전 모드로 주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브레이크를 걸었을 때는 천천히 깜박이고 곧 가속을 하려 하면 빠르게 깜박이게 됨

 

- 이 차량은 지붕이 아닌 다른 대체 라이트 디스플레이의 개념도 테스트하고 있으며, 앞유리, 창문의 하부, 그릴, 헤드램프, 사이드 미러에 라이트 디스플레이를 내장해 청록색으로 빛나게 함으로써 자율운전 모드임을 다른 도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임

 

- 보행자나 자전거가 차량 근처나 진행 방향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빛이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데, 이는 차량이 보행자들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행자와 운전자의 눈 맞춤을 대신하는 것이라고 함

 

- 주차 중이던 코오퍼러티브 카가 자율운전 모드로 구동될 경우 먼저 차체의 뒷부분이 한번 들썩이고 그 다음 앞부분이 한번 들썩이며, 동시에 신호기나 라이트 디스플레이가 청록색으로 빛나고 접혀있던 사이드 미러가 펴지게 됨

 

-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동물이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사람들이 이 움직임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자율운전차가 움직이기 시작할 것을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고 함

 

- 메르세데스-벤츠는 “정보에 근거한 신뢰”를 장기 비전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구현하는 것이 차체 전체가 정보를 나타내는 통신 매체가 되는 “디지털 익스테리어(digital exterior)”임

 

 

 

*** 출처: [iitp] 보행자와 자율주행차 간의 신뢰 구축을 위한 정보전달 방법 연구

*** 문서:

file7726241299482596906-18860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