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데이터가 갖는 특장점]
■ 국민연금은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 2,300만 명 중 92.8%인 2,135만 명에 대하여 소득, 납부 및 세대 구성 현황 등 다양하고 가치 높은 경제활동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음
*** 출처: [NIA] 국민연금 데이터 기반의 일자리 실용정보 개발
*** 문서:
NF_INSIGHT_Vol10_국민연금데이터기반의일자리실용정보개발.pdf
1. 과제개요
○ 과제명: 국민연금 데이터 기반의 일자리 실용정보 참조모델 개발
○ 주요내용:
- 국민연금공단이 보유한 이력 데이터(30년)를 기반으로 가입자의 입·퇴사 및 소득 내역과 전체 사업장 정보를 활용하여 변화하는 일자리 현황정보를 생성
- 또한, 고용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는 고용취약계층(경력단절여성)을 데이터 분석으로 발굴
○ 활용 데이터
- 국민연금 빅데이터(국민연금 관리대상자, 국민연금 가입자, 사업장 등)
2. 추진배경
○ 현재 구직자에게 필요한 상세한 사업장 정보 등 취업정보가 불균형적으로 제공
○ 일자리 정책 수립에 필요한 통계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정확한 일자리 통계는 미비한 상황
○ 현 일자리 지원 정책은 고용 취약자 문제 해결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필요
○ 일자리 통계 개발 등 국민연금공단이 보유한 빅데이터의 활용성 확대 요구 증가
-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험이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정보
3. 주요내용
○ 국민연금 데이터를 토대로 전국의 일자리 실용정보 제공
○ 국민연금 데이터를 토대로 전국의 일자리 실용정보 제공
- 국민연금 가입, 상실, 소득 등에 대한 이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의성 있고 현실을 반영한 상세한 일자리 현황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생산
- 정부(지자체)의 일자리 정책기획, 집행, 성과점검 등에 활용 가능한 전국의 일자리 생성·소멸·증감·이동 등에 관한 연도별(월별) 추이 분석 결과 제공
-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지도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 구현
(Drill Down 방식 채택 : ① 시도단위 → ② 시군구 단위 → ③ 읍면동 단위)
[전국 일자리 실용정보]
○ 고용 취약자 가운데 경력단절여성 사전 발굴을 위한 데이터 분석 모델 개발
- 장기 실업상태로 들어간 여성 인력들이 보여주는 사전 데이터 패턴을 국민연금 데이터에서 도출하여, 경력단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성 인력군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전 대응체계 마련 지원
○ 재취업률이 높은 사업장 관련 데이터 분석
-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장 파악을 위해 재취업률이 높은 사업장 분석, 사업장 특성을 나타내는 키워드별 사업장 비교 분석 수행
- 전체 과제 구성도
- 과제 수행 프로세스
4. 세부 추진 내용
○ 분석용 데이터 마트 구성
- 분석 대상은 국민연금 가입대상인 18~59세 인구를 집계하였으며, 이를 NPS 인구라고 명명하였고,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 등 세부 기준은 다음과 같음
[국민연금 일자리 실용정보의 기준]
- (분석 대상 데이터셋 구축) 기초 데이터 분석 후 본 과제 활용 대상 데이터를 가공하여 분석 및 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셋 마련
[데이터셋 구축]
- (분석 마트 구성) 분석 마트는 일자리 실용정보로 제공되는 현황정보 및 경력단절여성 발굴모델 개발을 위해 구성하였으며, 총 135개의 변수를 7종의 주제로 구분하여 생성함
(분석에 사용된 가구, 인구사회 등 변수 데이터는 모두 통계 집단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분석 마트 구성 요약표]
○ 지도 기반의 일자리 실용정보 웹서비스 구현
- 일자리 실용정보는 전체 일자리 현황, 여성 일자리 현황, 고용취약자 현황, 사업장 현황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171종의 세부 주제로 구성
[일자리 실용정보 콘텐츠 구성]
[일자리 실용정보 서비스 화면]
'IT 와 Social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DB산업은행] 스마트공장(스마트 팩토리) 구축 사례 및 시사점 - 민성희 선임 연구원 (0) | 2018.03.12 |
---|---|
[kif] 일본의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생산성 제고 사례와 계획 (0) | 2018.03.12 |
[iitp] 인공지능 지진 감지 시스템 ConvNetQuake(컨브넷퀘이크) 기존 시스템보다 17배 이상 감지 (0) | 2018.03.08 |
[KISDI 4차산업혁명과 블록체인 컨퍼런스 발표자료] 블록체인 관련 규제 이슈와 정책 방향 - 안찬식 변호사 (0) | 2018.03.08 |
[KISDI 4차산업혁명과 블록체인 컨퍼런스 발표자료] 블록체인 기반 신산업 활성화 주요정책 이슈 - 김경훈 부연구위원 (0) | 2018.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