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들어 사이니지는 옥외 광고 또는 안내 정보 제공 등 단순히 콘텐츠를 보여주는 수준에서 주변 상황 및 사용자를 인지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구로 더욱 스마트하게 진화 중이다. 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등 여러 분야의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와 연계한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플랫폼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통신사, 제조사, 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션 업체 등에서 각자의 사이니지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거나 서로 제휴하는 등의 생태계를 형성 중이다.
■ 사이니지 서비스 플랫폼 개요
- 콘텐츠 제작 도구: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자가 쉽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생성한 콘텐츠를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 콘텐츠 매니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콘텐츠의 재생을 스케줄링한다. 또한, 사이니지 기기의 현재 상태 및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이니지 기기 내부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 콘텐츠 플레이어: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로 구성된 사이니지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광고나 자막을 화면에 오버레이한다. 또한, 콘텐츠간 혹은 콘텐츠와 자막 간의 동기화 등의 역할도 담당한다.
- 앞으로의 사이니지 시장은 사이니지 서비스 플랫폼 사업자가 주도하는 생태계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 국내 기술개발 사례
□ LG전자
- WebOS 기반, 별도의 셋톱 박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자체 운영체제를 하나의 칩으로 제품에 내장
- 자체 개발한 SCAP API를 통해 사이니지 내장 조도 센서, 근거리 센서, 비콘 센서 등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더욱 강화된 서비스 개발 환경을 제공
- 지연이 없는 비디오 콘텐츠 재생, 다수의 비디오 콘텐츠 동시 재생(Multi Video Playback) 등의 기능 지원
□ 삼성전자
- 2013년에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SSSP)이라는 디지털 사이니지 전용 플랫폼 및 SDK 공개
-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사이니지 내부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콘텐츠도 관리 가능
- 2016부터는 Tizen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을 선보이기 시작
□ SKT
- 2015년 안드로이드 셋톱 박스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플랫폼인 스마트 사이니지를 오픈
- 개방형 플랫폼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제조사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API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 ETRI
- 공간 및 사용자 상황 정보를 활용하는 양방향 인터랙티브 사이니지 플랫폼 및 모바일 가상화 기술을 개발 중
□ 구글
- 크롬 비트와 크롬 박스를 내세워 크롬 브라우저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음
- 특히 크롬 비트는 최소 85달러의 가격으로 TV나 오래된 PC 등에 크롬 OS를 탑재할 수 있음
- 크롬 웹 스토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크롬 사인 빌더(Chrome Sign Builder)를 통해서 스케줄링이 가능한 콘텐츠를 작성하고 이를 크롬 비트 또는 크롬 박스 기반의 사이니지 화면에 배포할 수 있음
□ AdMobilize, Motionloft
- 실시간 사용자 얼굴 인식을 위한 기능을 플랫폼에 적용하여 사이니지를 통한 광고에 노출이 가능한 사용자의 수, 실제 서비스 이용자의 성별, 나이, 감정 등의 데이터를 수집
□ Amscreen
- 영국, 유럽 사이니지 시장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실시간 사용자 얼굴 인식이 가능한 OptimEyes를 이용
- 사이니지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날씨, 장소별 데이터 수집을 통해 세분화된 통계 결과를 도출하여광고 효과를 측정
□ Wayfinding
- 독일, 건물 도면, 평면도를 시스템에 입력하면 자동으로 전체 공간을 구성하고 해당 공간에 설치된 사이니지 기기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음
□ Panasonic
- 인터랙티브 사이니지(Interactive Signage)를 출시하여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상황 인지 기반 안내 서비스 기술을 중점 개발하고 있음
■ 향후 개발 동향
- 클라우드 기반
- HTML5 적용
- 모바일 연계
- 사이니지에 TV 방송을 활용하는 방법, 사이니지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행동 분석 등의 연구
- 사용자 인식 기술 및 AI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성향 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사물 인터넷,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등 기술의 대중화에 따라 다양한 기술과 융합된 형태의 사이니지 서비스 플랫폼 개발이 이루어질 것
■ 서비스 플랫폼의 발전을 더디게 하는 요소
-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각 주체가 운영하는 시스템마다 개별 작업으로 콘텐츠를 만들거나 변환해야 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 된다.
- 아직은 키 플레이어가 없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TTA, ITU, W3C와 같은 다양한 표준 단체에서는 사이니지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여 사이니지 전반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 요구사항, 기능 구조와 주요 특징, 메타데이터 및 단말 인터페이스
를 정의하고 있다.
- 국내의 사이니지 기술은 콘텐츠, 플랫폼 기술 등의 경쟁력 취약
** 출처: [TTA] 사이니지 서비스 플랫폼
** 문서:
'IT 와 Social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kin Osman Kazakci] An intro to ROI for predictive analytics - 예측분석의 ROI (0) | 2017.05.01 |
---|---|
[KISA] 우리 기업을 위한 "유럽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 안내서 - GDPR (0) | 2017.05.01 |
[kotra] 북미 사물인터넷 전문가들이 꼽은 IoT 시장의 미래 (0) | 2017.04.30 |
[ETRI] IoT 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전문가 인식 비교 (0) | 2017.04.30 |
[ETRI] Industrial IoT(IIoT 산업인터넷) 시장전망 및 생태계 조성 동향 (0) | 2017.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