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Sorry, Man | 미안합니다 | |
Be reconciled to your brother. —Matthew 5:24 | 형제와 화목하고 — 마태복음 5:24 | |
Hymn 361 | 찬송가 361 | |
When my son-in-law Ewing and I attended a sporting event, we enjoyed watching both the game and the people around us. | 사위 유잉과 함께 운동경기를 보러가게 되면, 우리는 경기를 보면서 주변사람들을 보는 것도 즐깁니다. | |
One of those people showed both the bad and good side of humanity. This man had apparently lost track of his seat. As he was looking for it, he stood squarely between us and the field. A man sitting in front of us also had his view blocked, so he told the guy, “Could you move? We can’t see.” | 경기장의 사람들 중에 선과 악 양면의 인간성을 함께 보여주었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 사람은 자기 자리를 못 찾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그 사람이 자리를 찾아 헤매다가 우리와 운동장 사이를 가로막고 서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 앞에 앉아 있던 사람도 시야가 가리게 되자 “좀 비켜주실래요? 안 보여요.” 라고 그 사람에게 말했습니다. | |
The lost man responded sarcastically, “Too bad.” A second request got a similar but more heated response. Finally the man moved on. Later came a surprise. He returned and told the man he had blocked, “Hey, I’m sorry, man. I was upset that I couldn’t find my seat.” They shook hands and the incident ended well. | 자리를 찾지 못한 그 사람은 빈정대며 “참 안됐네요.”라고 대꾸하였고, 다시 부탁해도 비슷하게 반응하며 좀 더 심한 말로 대꾸하였습니다. 결국에는 그가 다른 곳으로 갔는데, 그 후에 예상 못했던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 사람이 되돌아와서 자기가 시야를 가로막았던 사람에게 “저, 미안합니다. 제가 자리를 못 찾아서 화가 났었습니다.”라고 사과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서로 악수했고, 그 일은 잘 마무리되었습니다. | |
That interaction made me think. As we go through life striving to find our way, situations may frustrate us and cause us to respond to others in an un-Christlike way. If so, we must ask God to give us the courage to apologize to those we have offended. Our worship, according to Jesus, depends on it (Matt. 5:23-24). | 그 일련의 과정을 보며 나는 생각해보았습니다. 우리가 길을 찾고자 애쓰며 인생을 살아갈 때, 어떤 상황이 우리를 좌절시켜 그리스도인답지 않게 다른 사람들을 대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우리는 우리가 상처 준 사람들에게 사과할 수 있는 용기를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말씀대로 우리는 예배 전에 먼저 형제와 화목해야 합니다(마태복음 5:23-24). | |
We honor God when we make reconciliation with others a priority. After we have been reconciled, we can then fully enjoy communion with our heavenly Father. —Dave Branon | 다른 사람과 화해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할 때, 우리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합니다. 화목한 후에야 우리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와 충만한 교제를 즐길 수 있습니다. | |
It’s not easy, Lord, to swallow our pride and ask | 주님, 우리가 자존심을 꺾고 | |
Confession of sin is the soil in which forgiveness flourishes. | 죄의 고백은 용서가 번창하는 토양이다. |
'기억하고 싶은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양식] 버려지지 않음 Not Abandoned (0) | 2013.05.21 |
---|---|
내 마음 속에 (2) | 2013.05.16 |
스승의 날에 (0) | 2013.05.15 |
[오늘의 양식] 조여 맨 신발 끈 No Loose Laces (0) | 2013.05.15 |
[오늘의 양식] 무엇이 되는가 Becoming (0)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