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와 Social 이야기

[NIA] 지능정보사회 - 지능화의 시급성과 대응 전략

by manga0713 2017. 3. 18.

 

 

 

 

■ 목차

 

"지능화 시대,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빅디자인하라"

 

Ⅰ. 새로운 지능화 시대 도래
Ⅱ. 지능화 서비스의 현실화(AI Everywhere)
Ⅲ. 지능화로 급변하는 경제사회 모습
Ⅳ. 지능화의 시급성과 대응 전략 

...........................................................................................

 

 

 

1. 국가사회 지능화 추진의 당위성

 

□ 산업화 추격(Catch up) → 정보화 주도(Lead) → 지능화 선도(Pioneer)

 

- 지능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 기로에 서 있는 한국은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기회를 놓치면 지능기술의 하청 국가나 종속국으로 전락하게 되고, 그 파급효과는 국가의 흥망성쇠와 연결

 

 

□ 한국사회는 압축 성장의 결과 농업사회와 산업사회, 정보사회의 인프라와 특징을 모두 가진 혼재된 사회(Mixed Society)로, 복잡성·비효율성 발생

 

 

□ 모든 사물(기계)이 AI기반의 지능기술을 통해 인간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자기조직화를 통해 효율적으로 작동되어 사회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지능화 시대에 맞는 인프라 구축과 사회구조의 단순화 필요

 

- 지능화되어 새로운 지식관리의 행위 주체가 된 사물(기계)이 자율적으로 자기조직화를 통해 장애 없이 체계적·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사회 인프라 구축과 사회 운영 구조의 단순화 필요

 

 

 

2. 지능화 시대 전환을 위한 전략과 대응 방안

 

□ (기술개발보다 활용) 한국은 핵심 지능기술에서 선진국과 격차가 크므로 우선 이용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활용단계 기술 축적에 주력

 

 

□ (기술 수용성 제고) 지능기술 발전에 맞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제도 혁신을 병행, 한국 사회의 내재적 요청에 맞는 지능기술을 빠르게 흡수

 

 

□ (데이터 주도형 사회 실현) 한국을 데이터 부족국가에서 데이터 선도 국가로 전환하여 세계에서 가장 좋은 지능정보화 토양 마련

 

 

□ (기술보다 인간중심) 인간중심의 지능화 시대를 위해 새로운 사회적 규범에 대한 공론화와 사이버윤리 관련 법제도 개선 등의 기반 마련

 

 

□ (기술윤리 확보) 지능화된 로봇 활용 등 인간과 기계와의 관계행위 증가로 윤리와 신뢰문제가 인간-기계로까지 확대되므로 이에 따른 새로운 규범과 역기능 대응 체계 확립

 

 

 

 

** 출처: [NIA] 지능정보사회 - 지능화의 시급성과 대응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