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와 Social 이야기/Python348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math 4.1 함수 ● 함수(function) 함수(function)는 입력 값을 출력 값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관계(relationship)를 말한다. 맵(map), 매핑(mapping), 또는 딕셔너리(dictionar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어떤 입력 값과 출력 값이 함수 관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같은 입력 값에 대해서 항상 같은 출력 값이 나와야 한다. 함수에서 입력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을 정의역(domain), 출력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을 공역(range)이라고 한다. ● 연속과 불연속 함수의 값이 중간에 갑자기 변하는 것을 불연속(discontinuous)이라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연속(continuous)이라고 한다. ● 지시 함수(indicator function) 함수 이름에 아래 .. 2021. 5. 3.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math 3.5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는 주성분 분석이라고도 하며 고차원 데이터 집합이 주어졌을 때 원래의 고차원 데이터와 가장 비슷하면서 더 낮은 차원 데이터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차원축소(dimension reduction)**라고도 한다. - 출처: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math 3.5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2021. 4. 30.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math 3.4 특잇값 분해 N×M 크기의 행렬 A를 3개의 행렬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 여기에서 U,Σ,V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대각성분이 양수인 대각행렬이어야 한다. 큰 수부터 작은 수 순서로 배열한다. U는 N차원 정방행렬로 모든 열벡터가 단위벡터이고 서로 직교해야 한다. V는 M차원 정방행렬로 모든 열벡터가 단위벡터이고 서로 직교해야 한다. 위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 Σ의 대각성분들을 특잇값(singular value), 행렬 U의 열벡터들을 왼쪽 특이벡터(left singular vector), 행렬 V의 행벡터들을 오른쪽 특이벡터(right singular vector)라고 부른다. - 출처: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math 3.4 특잇값 분해 2021. 4. 30.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math 3.3 고윳값 분해 ● 고유분해의 성질 N차원 정방행렬 A에 대해 - 출처: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math 3.3 고윳값 분해 2021. 4. 30.